본문 바로가기

대학교 1-1/인프

웹페이지 종강 과제3

아래 코드는 메인 웹페이지에서 왼쪽 부분인 2023년 천문현상 빠르게 보기 컨텐츠이다.

2023년의 대표 천문현상과 설명이 들어가있다.

대표 천문현상 선정 기준은 한국 천문 연구원의 글 

https://www.kasi.re.kr/kor/publication/post/newsMaterial/29365이다.

사진 출처도 여기이다.

천문현상의 경우 국립과천과학관 이런 곳에서 생중계 영상을 하는데 이 영상으로 링크를 타고 갈수 있도록 해놨다.(과거의 천문현상을 말하는거다.미래의 천문현상을 생중계할수는 없으니..)

새 창(탭)에 뜨도록 설정해놓았다.

또한 여기서부터는 굳이 자바스크립트랑 css를 쓸 필요가 없어서 안썼다.

<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head>
<body>
  <h2>A quick look at 2023 astronomical events+YouTube live</h2>
  <main>
<section class="events">
<a href="#">January</a>
  <ul>
<details>
 <summary><a href="https://www.youtube.com/live/XtmcGCJ7FKk?feature=share"target="_blank">사분의 자리 유성우</a></summary>
 <img src="20221227113542350_660IKDH8.jpg">
  사분의자리 유성우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쌍둥이자리 유성우와 함께 3대 유성우 중 하나이다. 사분의자리라는 별자리는 사라졌지만, 예전부터 부르던 관습에 따라 사분의자리 유성우로 부른다. 올해 사분의자리 유성우 관측 최적기는 1월 3일 밤을 넘어 1월 4일 새벽일 것으로 예상한다. 올해 사분의자리 극대시간은 1월 4일 12시 6분이고, 시간당 최대 관측 가능한 유성수(ZHR)는 약 120개다. 그러나 극대시간이 한낮이고 밤중에도 밝은 달이 떠 있기 때문에 관측 조건이 좋지 않다.
</details>
<details>
<summary><a href="#">금성과 토성의 근접</a></summary>
<img src="금성과 토성의 근접.jpg">
 1월 23일 저녁 남서쪽 하늘에서 금성과 토성은 약 0.5도 내로 근접한다. 두 행성에서 약 4도 떨어진 곳에는 초승달이 있다. 같은 시각 목성과 화성도 한 하늘에서 볼 수 있다.
</details>
</ul>

<a href="#">February</a>
<ul>
<details>
<summary><a href="#">혜성 근지점 통과</a></summary>
<img src="니오와이즈 혜성.jpg">
2월 2일 C/2022 E3(ZTF) 혜성이 지구 가장 가까운 곳(근지점)을 지나간다. 근지점 통과 무렵 천구 북극 근처에 위치해 관측 조건은 매우 좋다. 예상 밝기는 4~5등급으로 올해 혜성 중 가장 밝을 전망이다. 다만 근지점 전후로 달이 있어 관측 시점을 달이 진 후나 뜨기 전이 적합하며, 2일의 경우 달이 뜨기 전 새벽이 관측 환경이 좋다.
</details>
</ul>

<a href="#">March</a>
<ul>
<details>
<summary><a href="https://www.youtube.com/live/eq8XEMJvQCY?feature=share"target="_blank">금성과 목성의 근접</a></summary>
<img src="금성과 목성의 근접.jpg">
3월 2일에는 밤하늘에서 제일 밝은 두 행성 금성과 목성이 근접한다. 금성과 목성은 0.5도로 근접해 거의 붙은 것처럼 보일 수 있다.
</details>
<details>
<summary><a href="#">금성 엄폐(제주 한정)</a></summary>
<img src="달과 금성의 근접.jpg">
3월 24일에는 제주에서만 관측할 수 있는 금성 엄폐 현상이 있다. 21시 14분에 달 오른쪽 밤 지역으로 들어간 금성은 21시 23분에 빠져나온다. 엄폐 현상이 시작되는 고도가 약 4도, 끝날 때는 2.5도에 불과해 지평선이 완전히 열린 곳에서만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 외 지역에서는 초승달과 금성이 매우 근접한 모습을 볼 수 있는데, 19시 28분에는 달과 금성이 0.9도로 가까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details>
</ul>

<a href="#">May</a>
<ul>
<details>
<summary><a href="#">반영월식</a></summary>
<img src="반영월식.jpg">
반영월식은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를 통과하면서 발생한다. 그래서 달이 약간 어두워지는 정도에 그친다. 이번 반영월식은 5월 6일 0시 12분부터 시작되며, 식의 최대 시간은 2시 22분 54초이며, 4시 33분에 종료된다. 이번 월식은 아시아, 호주, 아프리카, 유럽에서 볼 수 있다.
</details>
</ul>


<a href="#">August</a>
<ul>
<details>
<summary><a href="#">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극대</a></summary>
<img src="페르세우스 유성우.jpg">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는 ‘109P/스위프트-터틀(SwiftTuttle)’ 혜성에 의해 우주 공간에 흩뿌려진 먼지 부스러기들이 지구 대기와 충돌하면서 일어난다. 올해 페르세우스 유성우 극대시간은 13일 16시 29분이며, 13일 밤부터 14일 새벽까지 꽤 많은 유성을 볼 수 있을 것이다.
</details>
<details>
<summary><a href="#">올해 가장 큰 달</a></summary>
<img src="달과 금성의 근접.jpg">
올해 가장 큰 달은 8월 31일 밤부터 9월 1일 새벽까지 볼 수 있는 달이다. 8월 31일 달은 서울 기준 19시 29분에 떠서 1일 오전 7시 1분에 진다. 8월 31일 지구와 달의 거리는 약 357,300km로 지구-달 평균 거리인 384,400km보다 약 27,100km 이상 가깝다. 가장 작은 달은 2월 6일에 뜨는 달이다.
</details>
</ul>

<a href="#">September</a>
<ul>
<details>
<summary><a href="#">한가위 보름달</a></summary>
<img src="한가위보름달.jpg">
2023년 한가위인 9월 29일 보름달은 서울 기준 18시 23분에 뜬다. 달이 가장 높게 뜨는 시각은 다음날 0시 37분이며, 7시 2분에 진다. 각 지역에서 달이 뜨고 지는 시각은 천문우주지식정보 홈페이지(http://astro.kasi.re.kr/life/pageView/6)에서 확인 가능하다. 
</details>
</ul>

<a href="#">October</a>
<ul>
<details>
<summary><a href="#">부분월식</a></summary>
<img src="부분월식.jpg">
10월 29일 새벽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일부 가려지는 부분월식 천문현상이 일어난다. 이날 부분식이 4시 34분 30초에 시작되며, 5시 14분 6초에 최대(최대식분 0.127), 5시 53분 36초에 종료된다. 이후 식의 전 과정은 7시 28분 18초에 끝이 난다. 이번 월식은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오세아니아, 인도양에서 볼 수 있다.
</details>
</ul>


<a href="#">December</a>
<ul>
<details>
<summary><a href="#">쌍둥이자리 유성우</a></summary>
<img src="쌍둥이자리유성우.jpg">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소행성 3200페톤(3200 Phaethon)이 태양의 중력에 의해 부서지고 그 잔해가 남은 지역을 지구가 통과하면서 나타나는 유성우이다. 올해 쌍둥이자리 유성우 극대시간은 12월 15일 4시이며, 시간당 최대 관측 가능한 유성수(ZHR)는 약 120개이다. 새벽 시간이고 밤새도록 달이 없는 하늘이기 때문에 관측에 좋은 환경이다.
</details>
</ul>
<p style="cursor:help"><span style="color:red">절대 2023년의 모든 천문 현상을 기입한게 아닌,지면 관계상 중요한 일부만 표기.더 자세한 천문 정보는 한국전문연구원의 2023년 연간 천문력 참고.<br>
https://www.kasi.re.kr/kor/publication/post/notice/29297?cPage=2&clsf_cd=notice003</span></p>
</p>


</section>
</main>

</body>
</html>

인프 사진.zip
4.90MB

혹시 몰라 사진파일도 같이 올려놓는다.

'대학교 1-1 > 인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동되는 웹페이지의 모습  (0) 2023.06.15
웹페이지 종강 과제5  (0) 2023.06.15
웹페이지 종강 과제4  (0) 2023.06.15
웹페이지 종강 과제2  (0) 2023.06.15
웹페이지 종강 과제1  (0) 2023.06.15